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재명 정부 대통령실의 임시 홈페이지입니다. 새로운 디지털 소통 플랫폼을 현재 준비 중입니다.

대한민국 대통령실

01
10

국민께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드릴 수 있도록

정치의 본질은 국민이 더 나은 삶을 누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입니다. 그중에서도 ‘먹고사는 문제’는 가장 중요한 사안입니다.

자세히보기

위대한 한글, 문화강국 대한민국의 원천입니다

전 세계에서 창제 과정과 그 시기가 정확하게 기록되어 있고, 오늘날까지 온 사회가 이를 기념하는 문자는 한글이 유일합니다. 해외 학자들은 한글을 두고 "모든 언어가 꿈꾸는 최고의 알파벳", "세계에서 가장 과학적인 문자"라는 칭찬을 아끼지 않습니다.

자세히보기

국민 여러분의 오늘과, 민생의 내일을 위해

각자의 자리에서, 각기 다른 환경과 상황을 마주하며 살아가는 국민 여러분을 세심히 살피는 것이 대통령의 가장 큰 책무임을 명절을 맞아 다시금 새겨봅니다.

자세히보기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지켜오신 재외동포 여러분께 경의를 표합니다

분단의 아픔과 전쟁의 상처, 산업화와 민주화라는 시대의 전환점마다 재외동포 여러분께서는 언제나 조국의 버팀목이 되어주셨고, 세계 곳곳에서 대한민국의 위상을 드높여주셨습니다.

자세히보기

대한민국이 세계 AI 혁신의 중심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하겠습니다

세계 인공지능 혁신을 이끌고 있는 ‘챗GPT의 아버지’ 오픈AI 샘 알트만 대표와 만나 인공지능의 미래를 함께 논의했습니다.

자세히보기

'국민의 군대'와 함께, 강력한 자주국방의 길을 향해 나아가겠습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그리고 자랑스러운 국군 장병 여러분, <제77주년 국군의 날>을 국민과 함께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자세히보기

한일 정상회담을 통해 공동 번영을 이뤄가겠습니다

오늘 부산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은 한국과 일본 두 나라만이 할 수 있는 셔틀외교의 진수를 보여주었다 생각합니다. 취임 100여 일 만에 벌써 세 차례 이시바 총리님과 만남을 가진 것도 그만큼 양국 간 긴밀한 소통이 지속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자세히보기

국가 디지털 인프라를 더욱 강하게 정비하는 계기로 삼겠습니다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해 국민 여러분께서 큰 불편을 겪고 계십니다. 국정의 최고 책임자로서 무엇보다 먼저 무척 송구하다는 말씀을 전합니다.

자세히보기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끝내고, 코리아 프리미엄 시대를 열겠습니다

수많은 위기 속에서도 글로벌 자본시장의 중심을 지켜온 뉴욕증권거래소에서 한국 경제가 세계 시장으로의 재도약 준비를 마쳤음을 천명했습니다.

자세히보기

AI 시대를 인류 재도약의 발판으로! 대한민국이 앞장서겠습니다

명과 암이 공존하는 AI시대의 변화를 기회로 만들 방법은 국제사회가 단합해서 ‘책임 있는 이용’의 원칙을 바로 세우는 것뿐입니다.

자세히보기

국민과 함께하는 오늘

더보기

2025.10.14

10:00 제45회 국무회의 / 대통령실

2025.10.14

14:00 디지털토크라이브 <국민의 소리, 정책이 되다> / 콘텐츠문화광장

01
02

대통령실 브리핑

국민께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드릴 수 있도록

정치의 본질은 국민이 더 나은 삶을 누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입니다. 그중에서도 ‘먹고사는 문제’는 가장 중요한 사안입니다. 먹고사는 일이 힘들면 일상의 모든 것이 버거워지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 자영업자 비율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지만, 이들 중 상당수는 최저임금에 못 미치는 소득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금융 문제 역시 심각합니다. 선진국에서 시행하는 신속한 빚 탕감과 구조조정이 필요하지만, 대한민국의 현실은 빚을 지면 평…

2025.10.14

2025년 10월 14일 국민 여러분께 보고드립니다

국민 여러분께 보고드립니다. 문화는 이제 국력의 핵심 요소가 되었고, 우리는 문화강국으로 발돋움하고 있습니다. 이번 한 주를 ‘K-컬처 주간’으로 정하고, 수석·보좌관 회의를 통해 우리 문화의 현주소와 미래 비전을 점검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앞으로 정부는 문화강국 실현을 위해 K-콘텐츠 생산 확대, 역사·문화의 정통성 확립, 국민 문화 향유 확대 및 예술인 창작 지원, 문화·기술 융합, 관광 혁신을 5대 전략으로 세우고 중점 추진할 계획입니다. 또한 내년 문화 예산을 9조 6천억 원으로 전년 대…

2025.10.14

감독님, 이거 맞죠?️

2025.10.11

현장의 목소리를 들려주실 국민 패널을 모십니다️

2025.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