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한민국 대통령실

영상으로 만나는
대통령

[이재명의 국정노트] 국제사회 성공적인 데뷔🇺🇳 순방 2일차 모음.zip

2025.09.24

[화면 자막]

이재명 국정노트

 

유엔총회 순방 2일차

 

[이 대통령]

누군가 유엔이 이룬 성취가 무엇인지 묻는다면,

'대한민국의 80년 역사를 바라보라’, 이렇게 대답하겠습니다.

 

도전과 응전으로 점철된 대한민국의 역사는, 인류가 직면한 거대한 도전에 쉼 없이 맞서 온 유엔의 역사 그 자체라고 해도 결코 과언이 아닙니다.

 

친위쿠데타로도 민주주의와 평화를 염원하는 대한국민들의 강렬한 의지를 결코 꺾을 수 없었습니다.

 

지난 겨울, 내란의 어둠에 맞서 대한민국 국민들이 이뤄낸 ‘빛의 혁명’은 유엔 정신의 빛나는 성취를 보여준 역사적 현장이었습니다.

 

대한민국은 민주주의 향한 여정을 함께할 모든 이들에게 ‘빛의 이정표’가 될 것입니다.

 

저는 오늘 세계 평화와 인류 공영의 미래를 논의할 이 유엔총회에서, 세계 시민의 등불이 될 새로운 대한민국이 국제사회에 완전히 복귀했음을 당당하게 선언합니다.

 

유엔의 지원과 도움에 힘입어 성장한 우리 대한민국은 이제 민주주의 회복의 경험과 역사를 아낌없이 나누는 선도 국가로서의 역할을 마다하지 않겠습니다.

 

국제사회의 결의와 염원은 아직 끝나지 않은 우리 모두의 과제입니다.

 

여전히 2억 8천만 명의 인구가 극심한 기아 상태에 놓여있고, 우크라이나, 중동을 비롯한 세계 곳곳의 무력 분쟁, 이미 현실이 된 ‘기후 위기’가 인류 생존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유엔을 창설한 선각자들의 지혜에, 그리고 대한민국 국민이 증명한 길에 답이 있습니다. 방법은 하나, ‘더 많은 민주주의’입니다.

 

대한민국의 ‘국민주권정부’는 집단 지성의 힘으로 더 나은 대안을 찾아내는 민주주의의 혁신을 끊임없이 시도하고 있습니다.

 

국제사회가 직면한 공동의 과제를 해결할 방법도 결코 다르지 않습니다.

같은 문제를 겪는 모든 국가가 이곳 유엔에 모여 함께 머리를 맞대는 ‘다자주의적 협력’을 이어 나갈 때, 우리 모두 평화와 번영의 밝은 미래로 함께 나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안보리가 국제평화와 안보의 위협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의장님, 총장님, 그리고 존경하는 각국 대표단 여러분, 민주주의를 회복한 대한민국은 이제 더 나은 미래를 꿈꿉니다.

 

대한민국은 유엔이 표방하는 자유와 인권, 포용과 연대의 가치를 굳건하게 수호하는 글로벌 책임 강국으로서의 역할을 다해 나갈 것입니다.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내외국인 모두가 사회의 동등한 구성원으로서 삶의 모든 현장에서 존중받을 수 있도록, 제도와 문화를 더욱 발전시켜 나갈 것입니다.

 

‘더 나은 내일’을 향한 열정으로 지금의 진보를 이뤄냈습니다.

 

지속 가능한 미래를 향한 다자주의적 협력의 길, 우리 민주 대한민국이 앞서가겠습니다.

 

평화는 무엇보다 중요한 가치입니다.

 

대한민국에서도, 전 세계 어디에서도 평화는 민주주의와 경제발전의 기본적 토대가 됩니다.

 

오늘날 대한민국은 유엔의 평화유지 및 평화 구축 활동에 있어 핵심적인 기여국으로서 책임을 다하고 있습니다.

 

분단국가인 대한민국을 흔들림 없이 수호한 우리의 용사들이 유엔이 주도하는 ‘지속 가능한 평화’의 길을 돕고 있습니다.

 

한반도 평화는 남북은 물론 국제사회가 함께 만들어 가는 게 중요합니다.

 

우리 국제사회가 지혜를 모아 주시기 바랍니다. 경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화면 자막]

안토니우 구테레쉬 유엔 사무총장 면담

2025. 09. 23. (현지 시각)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제가 원래 지각하는걸 안 좋아하는데 본의 아니게 그렇게 됐습니다.

 

[이 대통령]

그리고 뉴욕이 원래 복잡하다고 합니다.

 

[화면 자막]

한-우즈베키스탄 정상회담

2025. 09. 23. (현지 시각)

 

[이 대통령]

우리 대통령님 생일날 제가 전화를 했는데 이렇게 직접 뵙게 되니까 정말 반갑습니다.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축하해줘서 고마워요. 대화가 참 좋았어요. 함께할 미래에 대해 알차고 의미 있는 이야기를 나눴던 게 기억납니다.

 

[화면 자막]

한-체코 정상회담

2025. 09. 23. (현지 시각)

 

페트르 파벨

체코 대통령

 

[이 대통령]

반갑습니다 뵙고 싶었습니다

 

[페트르 파벨 / 체코 대통령]

감사합니다

 

[이 대통령]

우리 대한민국에선 체코가 프라하 때문에 아주 유명한 거 혹시 아십니까?

 

[화면 자막]

토마스 번

코리아 소사이어티 회장

 

이안 브래머

유라시아 그룹 회장

 

수잔 엘리엇

미 외교정책위원회 회장

 

다니엘 커츠-펠란

포린어페어스 편집장

 

캐슬린 스티븐스

코리아 소사이어티 이사장

 

강경화

코리아 소사이어티 회장

 

외교안보 오피니언 리더 초청 만찬

2025. 09. 23. (현지 시각)

 

한미관계의 도전과 극복 방안 등

오피니언 리더들의 지혜를 경청하고

 

동맹의 저변을 더욱 확대할 수 있도록

외교안보 리더들의 역할을 당부했습니다

 

민주 대한민국의

국제사회 복귀 선언

 

평화공존과 공동 성장이라는

 

한반도의 새 시대를 향해

 

Better Together

 

함께하는 더 나은 미래의

세계를 향해

 

담대하게 나아가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