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국이 win-win할 수 있는 제조업 르네상스 ㅣ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2025.08.26 -
[이 대통령]
반갑습니다.
[음성 자막]
만나서 반갑습니다.
[음성 자막]
보잉에서 나왔습니다.
[이 대통령]
아~ 반갑습니다
우리가 매일 타는 비행기
[음성 자막]
전 세계에서 무인기 최고...
[이 대통령]
한국 같이 사업을
[음성 자막]
저희 계획입니다.
[음성 자막]
영화 협회 회장입니다.
[화면 자막]
한국과 미국
[음성 자막]
만나 뵈서 영광입니다 대통령님
[화면 자막]
주요재계 인사들이 한자리에
[음성 자막]
만나서 정말 반갑습니다 대통령님
[음성 자막]
만나서 매우 반갑습니다 대통령님 당선을 축하드립니다.
[음성 자막]
대통령님 HD현대 정기선 부회장입니다. 이번에 저희 마스가 펀드에 수십억 투자하시기로 약속한
[음성 자막]
정말 반갑습니다 대통령님 감사합니다
[이 대통령]
제 이름까지
[화면 자막]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
2025.08.25 (현지 시간)
[이 대통령]
정말 중요한 자리에 여러분들과 함께하게 되어서 참으로 기쁘다는 말씀드리면서, 한미 관계의 중추적 역할을 맡고 계신 양국의 기업인 여러분들 때문에 한국과 미국의 산업경제 발전이 지금보다 훨씬 더 앞당겨질 것으로 생각합니다.
동맹의 바탕은 신뢰이고, 신뢰를 높이는 가장 좋은 방법은 역시 경제적 교류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 기업인 여러분들 이야말로 72년 한미동맹의 그 역사 자체입니다.
여러분께서 흘린 협력의 땀방울이 증명하는 것처럼 대한민국 산업화의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존재가 바로 동맹국 미국입니다.
전쟁의 포화로 산업 기반이 무너졌던 절체절명의 시기, 미국의 도움 덕에 대한민국은 제조업 강국으로 다시 일어설 수 있었습니다.
한국의 제지, 화학 섬유 공장 건설에 미국인 기술자들이 참여했고, 통신망 발전소 등 핵심 인프라 건설도 미국의 지원이 결정적이었습니다. 대한민국이 자랑하는 세계 최고의 전력 인프라의 토대인 원자력 기술 또한 미국에서 배워간 것입니다. 반세기 만에 일궈낸 대한민국의 초고속 압축 성장은 미국의 도움 없이는 불가능했을 역사적 성취라고 생각합니다.
이제 대한민국이 미국의 제조업 재건에 기여할 차례라고 생각됩니다. 트럼프 대통령께서 강조하신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드는 일’의 핵심은 미국의 제조업을 다시 위대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한미 양국은 이미 70년 넘게 활발하게 이어온 교역과 투자로 긴밀하게 연계해 상호보완적인 산업 구조 그리고 공급망을 갖추고 있습니다.
조선, 반도체, 자 동차, 배터리, 바이오, 의약품, 원전 등 제조산업 분야 최고의 기술력을 보유한 대한민국이야말로 미국의 제조업 르네상스를 달성할 최적의 파트너라고 생각됩니다.
이제부터 양국이 윈윈할 수 있는 제조업 르네상스 비전의 세 가지 방향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첫째, 전략산업 분야의 협력을 강화해서 미래 안보를 수호하겠습니다. 국가 안보가 국민의 삶과 국가의 미래를 좌지우지하는 시대에 이럴 때 튼튼한 안보야말로 튼튼한 경제의 버팀목입니다. 이런 관점에서 제조업, 조선업 분야의 경우에 한국은 미국의 최적의 파트너이자 유일한 파트너라고 생각합니다.
한미 양국은 75년 전 미 해군의 결정적 활약으로 한국전쟁의 전세를 뒤집은 승리의 역사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해군의 저력은 조선산업 역량에서 비롯되는 것입니다. 미국이 조선업 강국의 영광을 회복해 군사력 강화까지 이룰 수 있도록 대한민국은 Make America Shipbuilding Great Aging, 마스가(MASGA) 프로젝트를 추진할 것입니다. 세계 1위에서 3위의 조선소를 보유한 우리 기업들은 상선부터 LNG선, 쇄빙선 등 첨단 선박까지 광범위한 포트폴리오로 미국 조선업 재건에 결정적 역할을 할 것입니다.
차세대 원전 분야의 협력을 늘리는 일도 놓칠 수 없습니다. SMR 개발 및 상용화로 AI 시대의 전력 수요를 충당하고, 에너지안보를 확충하는 데 집중하겠습니다.
둘째, 첨단산업 협력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겠습니다. 다들 아시는 것처럼 한미 반도체 공급망은 서로의 강점을 기반으로 한 공생 구조입니다. 무엇보다 고성능 AI 칩 제작에 필수적인 한국산 HBM은 미국 AI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핵심적 역할을 수행할 것입니다. 앞으로 SK, 삼성 등 우리 기업이 미국 내 패키징, 파운더리 팹 등 제조 시설을 건설할 예정이고, 이에 따라 미국은 반도체 공급망의 핵심 기지로 부상하게 될 것입니다.
바이오 의학 분야에서도 한국은 미국의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입니다.
이미 코로나 팬데믹 당시 한국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요청에 따라 진단 키트와 의료 장비를 제공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한국 기업들은 우수한 바이오시밀러를 저렴하게 공급해 트럼프 정부의 약가 인하 정책에 기여하고 있고, 미국 기업에 바이오 의약품을 위탁 생산하여 공급하는 중입니다. 앞으로는 양국이 바이오 의약 분야의 선두주자로서 혁신적인 연구 개발 등 협력을 강화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마지막 세 번째로 전략적 투자 구매와 핵심 품목 공급망 안정화로 지속가능한 무역 관계를 구축하겠습니다.
트럼프 1기 시절에 이어 2기 때도 한국 기업들의 미국 내 생산과 미국산 구매는 계속될 것입니다. 이로써 미국이 기대하는 상호 균형적이며 지속가능한 무역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경제, 안보 관련 분야 투자를 통해서 양국 간 산업 공급망은 더욱 강화될 것입니다. 더불어 미국 기업들의 한국 투자가 함께 확대된다면 한미 협력의 시너지가 극대화되는 동시에 공급망의 안정성 또한 더욱 확대될 것입니다.
지금까지 설명드린 한미 제조업 르네상스 프로젝트가 양국의 견고한 동맹을 기반으로 미국 제조업이 다시 부흥하는 중요한 변곡점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동시에 대한민국의 제조 역할도 역량도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믿습니다.
저와 한국 정부는 양국 기업인들의 이런 노력에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고맙습니다.
[한국경제인협회 회장 류진]
특별히 바쁘신 일정 가운데서도 참석해 주신 이재명 대통령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한미 정상회담에서 거두신 큰 성과들이 양국의 전통적 우호 협력을 더 한층 강화하고, 미래 공동 번영의 든든한 기반이 될 것으로 확신합니다.
[화면 자막]
한미 동맹의 새로운 황금시대
러트릭 상무부 장관
양국이 Win-Win하는
제조업 르네상스 기대로!